ECMA-262-3 ScopeChain

소개

  • 실행 컨텍스트의 데이터(변수, 함수 선언 그리고 함수의 매개변수)는 변수 객체의 프로퍼티( VO )로 저장된다.
    • Context = VO|AO + this + SC
  • 컨텍스트로 진입 할 때 매번 초깃값을 갖는 변수 객체를 생성하며(선언 + 초기화 == 호이스팅(Hoisting)), 코드 실행할 때 값을 갱신(할당)한다.

이번에는 ScopeChain에 대해서 알아보자.

정의

ScopeChain은 중첩 함수와 관련이 있다.

중첩함수란 함수 안에 함수가 있는 것을 말한다.

심지어 부모 함수가 이러한 중첩 함수를 결과값으로 반환 가능하다.

var x = 10;

function foo() {
 var y = 20;

 function bar() {
   alert(x + y);
 }
 return bar;
}

foo()(); // 30

This 편에서 나왔지만 모든 컨텍스트는 자신의 고유 변수 객체를 가진다. 전역 컨텍스트는 자기 자신을 변수 객체(VO_global)로 가지며, 함수 컨텍스트는 활성화 객체(AO)를 가진다.

  • 전역 컨텍스트 = VO + SC + this
  • 함수 컨텍스트 = AO + SC + this

ScopeChain은 내부 컨텍스트가 이용하는 모든(부모) 변수 객체의 리스트다. 변수를 검색할 때 이 체인을 이용한다.

위의 경우에서는 bar 컨텍스트의 ScopeChain은 AO(bar), AO(foo), VO(global)를 갖는다. 순서 또한 위와 같다. 즉 처음에 위치한 것은 자기 자신이라는 것이다.

SC 는 내부 컨텍스트가 이용하는 모든 변수 객체의 리스트

ScopeChain은 실행 컨텍스트와 관련 있으며, 식별자 해석 시 변수 검색에 이용하는 변수 객체의 체인이다.

  • ScopeChain은 함수를 호출할 때 생성된다.(실행 X)
  • 활성화 객체와 함수의 내부 [[scope]] 프로퍼티를 가진다.

내부의 모습

activeExecutionContext = {
   VO: {...}, // or AO
   this: thisValue,
   Scope: [ // ScopeChain(scope chain)
     // 식별자 검색에 이용할 모든 변수 객체의 리스트
   ]
};

Scope의 정의

Scope = AO + [[scope]]

예를 들기 위해서 스코프와 [[Scope]]ECMAScript 의 일반 배열로 나타낼 수 있다.

var Scope = [VO1, VO2, ..., VOn]; // ScopeChain
var VO1 = {__parent__: null, ... other data};
var VO2 = {__parent__: VO1, ... other data};
...

함수 라이프 사이클(Function life cycle)

함수의 라이프 사이클은 생성 단계, 활성화 단계(call) 의 2가지로 나뉜다.

함수 생성

컨텍스트 단계로 들어갈 때 변수/활성화 객체(VO/AO)가 함수 선언으로 들어간다.

var x = 10;

function foo() {
  var y = 20;
  alert(x + y);
}

foo(); // 30

함수가 활성화가 되면 함수는 30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변수 y는 함수 foo에서 정의되어있지만, 변수 xfoo의 컨텍스트에 정의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fooAO에 추가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xfoo 에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fooContext.AO = {
  y: undefined // undefined – 컨텍스트 접근시, 20 – 활성화시
};

foo 컨텍스트의 활성화 객체는 y 프로퍼티만을 가진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함수 foo 가 변수 x 에 접근할 수 있을까?

[[Scope]]는 현재 함수 컨텍스트의 상위에 있는 모든 부모 변수 객체의 계층 체인 이다. 이 체인은 함수가 생성될 때 함수에 저장된다.

함수를 생성할 때 [[Scope]] 프로퍼티가 함수에 저장되는데, 일단 한 번 저장되면 함수가 사라질 때까지 정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는 사실을 주목하자. 함수를 결코 호출할 수 없어도, 함수 객체는 이미 [[Scope]]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다.

foo.[[Scope]] = [
  globalContext.VO // === Global
];

함수 활성화

컨텍스트로 진입하고 AO/VO가 만들어진 후에, 컨텍스트의 scope 프로퍼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cope = AO|VO + [[Scope]]

여기서 중요한 것은 활성화 객체가 Scope 배열의 첫 번째 원소로 제일 앞으로 온다는 것이다.

Scope = [AO].concat([[Scope]]); 

식별자 해석은 변수(또는 함수 선언)가 ScopeChain의 어떤 변수 객체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식별자 해석 과정은 변수의 이름에 해당하는 프로퍼티를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ScopeChain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컨텍스트의 변수 객체부터 시작해서 가장 위에 있는 변수 객체까지 연속적으로 검사하는 과정이다.

그 결과 현재 컨텍스트의 지역 변수는 부모 컨텍스트에 있는 변수보다 검색 우선순위를 가지며, 이름이 같지만 서로 다른 컨텍스트에 존재하는 두 변수가 있으면, 더 깊은 컨텍스트에 있는 변수가 우선한다. 즉 가까운 곳에 있는 변수가 우선순위가 높다는 것이다.

var x = 10;

function foo() {
 var y = 20;

 function bar() {
   var z = 30;
   alert(x +  y + z);
 }

 bar();
}

foo(); // 60

전역 컨텍스트의 변수 객체 :

globalContext.VO === Global = {
 x: 10
 foo: <reference to function>
};

foo 생성 시점에 foo[[Scope]] 프로퍼티 :

foo.[[Scope]] = [
 globalContext.VO
];

foo 함수의 활성화 시점(컨텍스트로 진입하는 단계)에 foo 컨텍스트의 활성화 객체 :

fooContext.AO = {
 y: 20,
 bar: <reference to function>
};

foo 컨텍스트의 ScopeChain :

fooContext.Scope = fooContext.AO + foo.[[Scope]] 

fooContext.Scope = [
  fooContext.AO,
  globalContext.VO
];

중첩된 bar 함수가 생성되는 시점에 bar 함수의 [[Scope]] :

bar.[[Scope]] = [
  fooContext.AO,
  globalContext.VO
];

bar 활성화 시점에 bar 컨텍스트의 활성화 객체 :

barContext.AO = {
  z: 30
};

bar 컨텍스트의 ScopeChain :

barContext.Scope = barContext.AO + bar.[[Scope]] // i.e.:

barContext.Scope = [
  barContext.AO,
  fooContext.AO,
  globalContext.VO
];

스코프의 특징(Scope features)

클로저

ECMAScript의 클로저는 [[Scope]] 프로퍼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Scope]] 는 함수를 생성할 때 함수에 저장되어서, 함수 객체가 사라질 때까지 존재한다. 실제로, 클로저는 정확하게 함수 코드와 [[Scope]] 프로퍼티의 조합이다

var x = 10;

function foo() {
  alert(x);
}

(function () {
  var x = 20;
  foo(); // 10, but not 20
})();

변수 x는 foo 함수의 [[Scope]] 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변수를 검색할 때, 함수 호출 시점의 동적인 체인(이 경우 변수 x의 값은 20이 될 것이다)이 아닌, 함수 생성 순간에 정의된 어휘적인 체인을 이용하였다.

function foo() {
  var x = 10;
  var y = 20;

  return function () {
    alert([x, y]);
  };
}

var x = 30;
var bar = foo(); // 익명 함수를 반환한다.

bar(); // [10, 20]

위이 예제에서도 역시 식별자 해석에 함수 생성 시점에 정의된 어휘적 ScopeChain을 이용했다. 변수 x를 30이 아닌 10으로 해석했다. 게다가, 이 예제는 함수의 [[Scope]] (함수 foo가 반환한 익명 함수의 경우에)가 심지어 생성된 함수의 컨텍스트가 이미 종료되고 난 이후에도 존재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Function 생성자로 생성한 함수의 [[Scope]]

위의 예제에서 함수 생성시에 [[Scope]] 프로퍼티를 가져오고 이 프로퍼티를 통해서 모든 부모 컨텍스트의 변수에 접근한다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이 규칙에는 한 가지 중요한 예외가 있는데, Function 생성자를 이용해서 함수를 생성하는 경우는 다르다.

var x = 10;

function foo() {
  var y = 20;

  function barFD() { // FunctionDeclaration
    alert(x);
    alert(y);
  }

  var barFE = function () { // FunctionExpression
    alert(x);
    alert(y);
  };

  var barFn = Function('alert(x); alert(y);');
  barFD(); // 10, 20
  barFE(); // 10, 20
  barFn(); // 10, "y" is not defined
}

foo();

위에 보이듯이 생성자로 만든 함수는 Scope가 다르다. 그러나 x에는 접근을 한다. 이것은 [[Scope]]global은 가진다는 것이다.

2차원 ScopeChain 검색

ScopeChain 검색의 중요한 포인트는 ECMAScript 의 프로토타입적인 성격 때문에 변수 객체의 프토토타입 또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객체 내에서 직접적으로 프로퍼티를 찾지 못한다면, 프로토타입 체인까지 검색한다. 즉, 일종의 2차원 체인 검색이다. (1) ScopeChain 연결, (2) 그리고 깊은 프로토타입 체인 연결에 있는 모든 ScopeChain 연결을 검색 한다.

function foo() {
  alert(x);
}

Object.prototype.x = 10;
foo(); // 10

쉽게 말하면 역시 scope를 검색했는데, 없다면 protptype chain까지 검색한다는 것이다.

전역 컨텍스트와 eval 컨텍스트의 ScopeChain

전역 컨텍스트의 ScopeChain은 오직 전역 객체만을 갖는다. 그리고 eval 코드의 컨텍스트는 호출 컨텍스트와 같은 ScopeChain을 갖는다.

무조건 글로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globalContext.Scope = [
    Global
];
evalContext.Scope === callingContext.Scope;

코드 실행 중 ScopeChain에 영향을 미치기

ECMAScript에는 코드 실행 런타임에 ScopeChain을 변경할 수 있는 두 가지 구문이 있다.

with문과 catch절이다.

구문 내에 나타나는 식별자를 찾기 위한 객체를 ScopeChain의 가장 앞에 추가한다. 이 중에 하나를 코드에 적용하면, ScopeChain은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Scope = withObject|catchObject + AO|VO + [[Scope]]

with문의 경우에는 파라미터로 넘겨 받은 객체를 추가한다(결과, 이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두사를 붙이지 않고 접근할 수 있다)

var foo = {x: 10, y: 20};

with (foo) {
  alert(x); // 10
  alert(y); // 20
}
Scope = foo + AO|VO + [[Scope]]
var x = 10, y = 10;

with ({x: 20}) {
  var x = 30, y = 30;

  alert(x); // 30
  alert(y); // 30
}

alert(x); // 10
alert(y); // 30
  1. x = 10, y = 10
  2. 객체 { x : 20 }을 ScopeChain의 앞에 추가한다.
  3. 컨텍스트 진입 단계에서 모든 변수를 해석하고 추가했기 때문에 with 내에서 var 구문을 만났을 때 아무것도 만들지 않는다.
  4. 오직 x 의 값을 수정하는데, 정확하게는 두 번째 단계에서 ScopeChain의 앞에 추가된 객체 내에서 해석되는 x를 말한다. 20이었던 x 의 값이 10이 된다.
  5. 또한 위의 변수 객체 내에서 해석되는 y도 변경한다. 결과적으로 10이었던 y의 값이 30이 된다.
  6. 다음으로 with 문이 종료된 후에, 스페셜 객체는 ScopeChain에서 제거된다( x 의 값이 변경되고, 30 또한 객체에서 제거된다). 즉, ScopeChain 구조가 with 문에 의해서 확장되기 이전 상태로 돌아온다.
  7. 마지막에 있는 두 번의 alert 호출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현재 변수 객체 내에 있는 x의 값은 같은 상태로 남아있고, y의 값은 with 문 내에서 변경한 상태 그대로 30이다.

catch 절 또한 exception 파라미터에 접근하기 위해서 exception 파라미터의 이름을 유일한 프로퍼티로 갖는 중간 스코프 객체를 만들며, 이 객체를 ScopeChain의 앞에 추가한다.

try {
  ...
} catch (ex) {
  alert(ex);
}
var catchObject = {
  ex: <exception object>
}
Scope = catchObject + AO|VO + [[Scope]]

catch절 내의 작업이 종료된 후에, ScopeChain은 이전 상태로 돌아온다.


Reference